학력
중앙대학교 신문학과에서 정치학 석사(1999)와 언론학 박사 학위(2006)를 받았으며,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어바나 샴페인 캠퍼스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UIUC) 동아시아 연구소(East Asian and Pacific Studies) 방문학자를 지냈다.
주요 경력
경희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대학원 객원교수(2020-2022)
숙명여자대학교 미디어학부 초빙대우교수(2018- 2019)
Visiting Scholar, East Asian and Pacific Studies,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UIUC (2012)
동국대학교 대중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2009-2011)
한국예술종합학교 디지털미디어포맷팅 랩 상임연구원(2018)
2006.3- 2007.8.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2006-2007)
◾ 수상
<포스트 텔레비전>, 세종도서 우수 학술부문 추천도서 선정. 2024.
<신한류와 문화이동의 지형학>, 세종도서 우수 학술도서 선정. 2014.
◾ 영상제작지원 선정
영화진흥위원회 한국영화 기획개발 지원 다큐멘터리 부문 선정(프로듀서). 2011.
담당 교과목
미디어문화, 문화산업정책/노동, 디지털 기술·젠더
주요논문 및 저서
이종임. 드라마 속 여성의 재현방식과 공동체에 대한 탐구: 넷플릭스 <더 글로리>와 <남남>을 중심으로, <콘텐츠와 산업>, 10월호. 2025.
홍주현·조인숙·이종임. 방송의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다양성 연구: 패널의 속성을 중심으로, <정치·정보연구>, 제27권 1호, 213-244. 2024.
이종임. 문화연구자의 현실정치 의미 탐구-원용진 교수의 문화연대와 함께 한 현실개입 여정을 중심으로, <문화연구>, 제11권 2호, 85-107. 2023.
강윤재·김규태·이종임. 지역에 기반한 과학문화 정책의 재설계 방안 연구, <과학기술연구>, 제22권 제2호, 4-30, 2022.
설진아·이종임·홍주현. 유튜브 뉴스채널의 ‘북한원전 건설 의혹’관련 보도 연구:언론사 채널과 개인채널 뉴스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5권 6호, 334-371, 2021.
홍주현·설진아·이종임. 유튜브 채널에서 코로나19 중국관련 허위정보 확산에 관한 연구 : 확산 주체와 정보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권 2호, 652-666, 2021.
이종임·박진우·이선민. 청년 세대의 분노와 혐오 표현의 탄생 : 온라인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의 ‘혐오-언어’표현 실태 분석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22권 2호, 5-37, 2021.
송용한·이종임·오현주. 한국방송산업의 구조적 변화에 따른 비정규직 노동자의 정체성 구성에 관한 연구, <문화와 정치>, 제6권 제4호, 205-237, 2019.
이종임·홍주현·설진아. 트위터에 나타난 미투운동(#Me Too)과 젠더 갈등 이슈 분석: 네트워크 분석과 의미분석을 중심으로, <미디어, 문화&젠더>, 34권 2호, 99-146, 2019.
이종임. 문화노동자로서의 아이돌/연습생에게 필요한 것, <문화과학>, 98권, 2019 여름호, 232-246, 2019.
이종임. 국내 방송드라마산업의 제작구조와 노동환경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 21>, 제9권 3호, 741-755, 2018.
이종임. JTBC, 뉴스와 예능은 가는 길이 다르다?, <문화과학>, 93호, 156-171, 2018.
이종임. 동네상권과 문화예술인들의 비자발적 이주, 젠트리피케이션-가수 싸이와 테이크아웃드로잉 소송을 중심으로, <인문사회21>, 제8권 제1호, 621-641, 2017.
이종임. 모바일 인터페이스의 확장과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미래, <문화과학>, 92호, 198-220, 2017.
이종임. 한류문화에서 재현되는 여성/담론-케이팝 아이돌 걸그룹의 뮤직비디오 속 이미지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제7권 제6호, 413-430, 2016.
이종임. 대학생들의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과 일상화 경험에 관한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2014년 3월, 제29권 1호, 37-70, 2014.
이종임. 1970년대 드라마 속 여성의 역할과 젠더 재현방식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8권 5호, 2014년 10월, 180-205, 2014.
학술대회
고립의 시대에서 연결의 시대로: 고립·은둔 청년 지원 및 사회적 연대를 위한 공영방송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소통학회 봄철학술대회 EBS 세션 발표, 2025.5.30
젠트리피케이션 문화적 문제: ‘젠트리피케이션과 문화운동’.
Youth Speak Forum, 고려대학교, 2025.6.28.
고립·은둔에서 상호의존과 돌봄의 공생 네트워크로: 청년세대의 공동체성 복원을 위한 공영방송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소통학회 봄철학술대회 EBS 특별세션, 2025.5.30.
포스트 한류 시대, 엔터테인먼트 생태계의 상생과 협력의 의미, 엔터테인먼트법학회 발표, 2025.5.27.
악성댓글, 사이버레카로 인한 인권침해 사례, 사단법인 올 제2회 올 라운드 테이블 <미디어로 인한 인권침해> 세미나 발표, 2025.5.13.
광장정치와 여성 정치 세력화: 친밀성과 공공성의 정치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봄철학술대회, 2025.4.12.
케이팝을 매개하는 기술, 케이팝을 구성하는 젠더, 서울대 언론정보 연구소 <미디어 테크놀로지와 젠더> 세미나. 2025.2.3.
제도 ‘안’과 ‘밖’의 문화연구-하기. 문화연구 송년세미나. 한국언론학회·한국방송학회·한국언론정보학회 문화연구회. 2024.12.26.
예능프로그램의 아동·청소년 출연자의 인권보호 실태와 현황. 방송통신심의위원회 토론회: <정말, 어린이·청소년의 인권 보호받고 있습니까>, 2024.12.13.
엔데믹 시대, 문화예술과 게임 산업 지원정책에 대한 제언: 국내외 문화예술지원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GSOK(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 세미나. 2024.7.18.
하이브-어도어 경영권 사태, 어떻게 볼 것인가?, 2024.5.2.
디지털 플랫폼으로 재구성되는 아이돌과 팬덤의 친밀감,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봄철학술대회 미디어비평 연구회 세션, 2024.4.6.
청년세대가 향유하는 디지털 미디어 속 정체성: 유튜브 콘텐츠 소비 2030세대와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가을철학술대회. 2023.11.9.
리얼리티 쇼의 변주, 가성비 콘텐츠가 결정하는 생애주기. 2023 언론과 사회 세미나, 2023.6.9.
'SM 엔터테인먼트 경영권 분쟁, 어떻게 볼 것인가' 토론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3.3.3.
‘바람직한 재난위기 관리를 위한 재난정보 생산·유통 방안’.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뉴스통신진흥회 후원 세미나 발표, 2022.10.21.
공영방송사의 조직문화와 젠더이슈, KBS 특별세션:젠더 관점에서 바라본 공영방송, 공영방송의 미래,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가을철 학술대회, 2021.11.6.
K컬처 생산 시스템의 안과 밖, 2021 아시아문화포럼. 광주문화재단. 2021.10.14.
문화산업의 예술-문화노동 그리고 아이돌, 2020 한국방송학회 가을철학술대회. 2020.11.10.
게임산업에 종사하는 여성개발자들, 2019 테크노미디어포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9.11.22.
tbs <홍석천의 Oh! 마이로드 - 다시 뛰는 경리단길>, 프로토크, PD연합회. 2019.9.24.
놀이문화보다 중독프레임으로 규정되는 게임: 왜 게임은 문제적 대상이 되었는가,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 2019.8.21.
미디어에서 재현되는 젠더 의미 읽기-남성성/여성성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봄철학술대회. 2016.4.15.
TV프로그램에서 재현되는 다문화성 그리고 초국가주의,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봄철학술대회. 2010.5.29.
‘리얼리티’ 그늘에 가려진 오락 프로그램의 선정성: 지상파·케이블 방송의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2010.2.
저역서
이종임. 광장정치와 여성정치 세력화, 정원옥·김상규·이종임 외 지음. <광장의 문화정치:12·3 이후 내란정치를 읽다>. 동연, 2025.
이종임. <미디어 기술 부상하는 케이팝>, 북코리아, 2024.
이종임. 아이돌 문화자본 형성 메커니즘, 백원담·이동연·김성일·김수아·이종임 외 지음. <한류:문화자본과 문화내셔널리즘의 형성>, 한국예술종합학교, 2024.
이종임, 방송산업과 OTT플랫폼, 이기웅·박근형·안미향 외 지음. <대중문화와 문화사업>, 한울, 2023.
이종임. TV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변주, 이기형·이동후·이종임·황경아. <포스트텔레비전>. 컬처룩, 2023.
이종임, 모바일 인터페이스의 확장과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미래, 원용진·이동연·김상민·강신규·이종임 외 지음. <서드 라이프>, 커뮤니케이션북스, 2020.
이종임, AI와 여성 개발자: 기술 산업이 갖는 젠더 불평등, 금희조·강혜원·이종임 외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2020.
이종임. 방송사의 조직문화, 노동 그리고 젠더, 김명혜 외 지음. <핵심이슈로 보는 미디어와 젠더>,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이종임. <문화산업의 노동구조와 아이돌>, 북코리아, 2018.
이종임. <아이돌 연습생의 땀과 눈물-아이돌 성공신화와 연습생의 딜레마>, 서울연구원, 2018.
이종임. 문화권력의 지형과 국내문화산업 탐구, 이기형·이동후·이종임·황경아. <문화연구의 렌즈로 대중문화를 읽다>, 컬처룩, 2018.
이종임. 여성 게임 개발자로 살아간다는 것, 이희은 외 지음.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 이화출판, 2018.
이종임. <젠트리피케이션과 문화운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이종임. <디지털 세대, 문화, 정체성>,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이종임. 국내 거대 미디어 기업의 등장과 미디어 시장구조의 변화 , 이동연 외 지음. <누가 문화자본을 지배하는가>.문화과학사, 2015.(공동저서).
이종임, 모바일 글쓰기와 또래문화, 정회경 외 지음. <모바일과 여성>,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공동저서).
이종임, 디지털 문화와 세대적 정체성, 양승찬·김옥태·심재웅 외. <디지털 사회와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공동저서).
연구프로젝트
EBS <청년 세대의 공동체성 복원을 위한 EBS의 역할- 고립·은둔 청년지원 및 사회적 연대를 위한 교육공영방송사의 역할과 방향> 연구. 2025. 4.9.-2025.5.31.
아동·청소년 대중문화예술인 권익보호 가이드라인 제정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 2023.4.15.-2023.8.31.(책임연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공동체미디어활동 지원사업’ 정책방향연구. . 시청자미디어재단. 2023.6-2023.11. (공동연구)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중진 독립연구자 학술지원 연구. 2023.9.-2025.8.: 드라마 속 여성의 재현 방식과 연대 가능성에 대한 연구: Netflix 〈더 글로 리〉와 ENA 〈남〉을 중심으로.
방송문화진흥회 저술지원사업. <미디어 기술이 부상하는 케이팝>. 2022.4.-2022.10.
과학문화도시 재설계 및 추진전략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21. (공동연구)
또래문화를 통해 본 청소년의 성평등 의식과 태도(2).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1.1.-2021.12.(공동연구)
한국방송학회 저술지원사업, <텔레비전 연구로의 초대: ‘포스트 네트워크’ 시대 텔레비전의 변화하는 트렌드와 정체성 그리고 관련 지식생산의 재구성을 다면적으로 조명하기>. 2021.7-2022.7. (공동연구)
또래문화를 통해서 본 청소년의 성평등의식과 태도연구(Ⅱ),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1. (공동연구).
대중문화산업 종사 아동·청소년 인권상황 실태조사, 문화사회연구소/국가인권위원회. 2020. 6.-2020.11. (책임연구)
방송 드라마 기술 스태프 처우개선과 노동기본권 강화 방안 연구, 고용노동부/한빛문화재단, 2019.8-2019.12. (책임연구)
<방송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다양성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2022. (공동연구)
<방송드라마 기술 스태프 처우 개선과 노동기본권 강화 방안 연구>, 고용노동부, 2019. (책임연구)
<게임문화산업특정성별영향평가>, 여성가족부, 2019.(공동연구)
<광명시 문화민주화 도시 기본계획 수립>, 광명시, 2017.(공동연구).
<성북창조문화도시 조성을 위한 연구>, 성북구, 2015.(공동연구).
<2015 방송산업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공동집필).
<성북문화다양성 생태계를 위한 구조화 전략>. 성북문화재단, 2015. (공동연구).
모바일 기반 디지털 문화예술 창작과 수용 사례 연구. SK텔레콤. (공동연구).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2014), <2014 한류백서>, (공동집필).
한국콘텐츠진흥원(2014). <2014 방송산업백서>, (공동집필).
SK텔레콤(2013). 네트워크 세대들의 모바일 문화 취향에 관한 연구.(공동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3). <2013년 문화다양성 방송·언론 미디어 모니터링 연구>. (공동연구)
한류문화에서 형성되는 여성담론:K-POP 아이돌 걸그룹의 이미지와 젠더 스테레오타입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시간강사 사업. 2013.11.-2014.10.
네트워크 세대 모바일 문화취향에 관한 연구. 공동연구. 문화사회연구소/ SK텔레콤. 2013.4-2013.8.
신한류시대 문화이동의 지형학. 방송문화진흥회 저술지원사업. 책임연구. 2012.4.20.-2012.10.20.
기타(학회활동 등)
YTN 시청자평가원 (2025.8.- 현재).
제 26대 한국언론정보학회 총무이사 (2024.11.- 2025.11.)
제 24대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연구이사 (2022.11.-2023.11.)
제 23대 한국언론정보학회 연구이사 (2021.11.-2022.11.)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 위원(2018.11.-현재 )
KBS 시청자위원 (2018.9.-2022.8)
제 30대 한국방송학회 총무이사(2017.11-2018.11.)
제 17대 한국언론정보학회 총무이사(2015.5.-2016.5 )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미디어, 젠더 & 문화>편집위원(2015.1- 2016.11. )
SBS 시청자 평가원(2014.11- 2018.8.)
SBS 시청자위원(2007.3.- 2010.2.)
영상물등급위원회 영화소위원회 심의위원(2003.6.- 200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