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공공정책전공
AI공공정책전공
 학과안내 AI공공정책전공 교과목 개요
[AI정책과 거버넌스]
AI 국가전략과 거버넌스(AI National Strategies and Governance)

인공지능과 데이터가 디지털 경제의 지형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국가차원의 AI전략이 어떠한 구조와 특성을 가지는가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또한 각 국가 및 글로벌 차원의 정책과 거버넌스의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관련 정책의 상호관련성과 글로벌-국가 간의 협력이 어떠한 차원에서 전개될 것인지에 대해서도 학습한다.

 

AI 생태계 정책론(AI Ecosystems and Clusters)

공생성, 상호의존성, 완결성 등 생태계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토대로 AI생태계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이해하고, 생태계의 구성요소이자 동인이 될 수 있는 연구인력, 데이터/인프라, 창업생태계, 수요부문와의 협력, 금융, 정부지원 등의 역할과 상호작용에 대해 학습한다. 생태계의 조성을 위한 산,학,연의 상승적 상호작용을 구현하기 위한 정책수단의 하나인 클러스터와 허브 등에 대하여 국내외 사례를 토대로 구체적인 경험을 쌓는다.

 

4차산업혁명론(Understanding the 4th Industrial Society)

"왜 4차 산업혁명인가?"에 대해 명확한 이해를 가질 수 있도록 산업혁명의 역사와 개념, 그리고 3차례 산업혁명을 구분하는데 참조할 수 있는 Toinbee, Bell, Toffler, Rifkin 등의 저술을 중심으로 학술적 이론과 개념을 학습한다. 인공지능과 뉴럴네트워크 등 4차산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사이버 피지컬 시스템(Cyber-physical System), 뉴럴네트워크 등 인프라 기술에 관한 지식을 배양한다.

 

국가데이터정책론(National Data Platform Strategy)

인공지능의 기술의 고도화와 적응확대를 위해서 필수요소가 되는 정확하고 깨끗한 데이터의 구축에 대한 정부의 정책과 전략을 이해하기 위해 행정정보 공유, 공공데이터 개방 등에 대해 학습한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의 진전을 위해 민간에서 생산되지만 공익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국가데이터의 수집에서 가공, 저장, 의사결정, 분석 그리고 공유 등에 이르는 전반적인 가치사슬을 학습한다.

 

알고리즘과 사회(Algorithm & Society)

알고리즘의 기본원리와 작동 메카니즘을 배우고 이를 이용하여 실생활과 기업에서 접하는 자동추천, 맞춤형 추천 등의 학술적 개념과 사례에 대해 배운다. 아울러 알고리즘에 의한 추천과 자동적 의사결정 등이 가져올 다양성의 소실, 신뢰성, 책임성, 안정성 등 인간적 차원의 영향과 사회적 문제점, 그리고 이러한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 및 국가 차원의 정책과 하위 개념들을 학습한다.

 

IT정책론(IT Policy)

IT정책을 중심으로 공공문제 해결을 위한 합리적 선택과 이행의 논리 구조를 연구하고, 정책 환경의 복잡성, 불확실성, 모호성을 해소하여 정책성과를 제고 할 수 있는 방안으로 모색하며, 학습과정으로서 정책집행의 개선과 진화에 대하여 탐구한다.

 

전자정부론(E-Government)

국가정보화와 전자정부 등 공공 부문의 정보시스템을 기획하기 위해 필수적인 정보자원관리에 대한 이해와 그 중에서도 핵심적인 개념인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쳐(Enterprise Architecture)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글로벌 전자정부와 ODA(Globa e-Government and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이 과목은 최근 전자정부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전자정부의 글로벌 확산에 따른 이론적·실무적 지식을 학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글로벌 전자정부의 현황을 학습하고, ODA 사업 등의 기획과 평가 등에서 주목해야 할 내용들을 학습한다.

 

디지털정부와 스마트시티 정책(Digital Government and Smart City)

ICBMS라 불리우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최근 인공지능(A.I)를 플랫폼으로 급격한 변화를 추동하고 있다. 이 과목은 IT의 최근 발전이 공공부문의 정책의사결정과 공공서비스의 생산·전달·분배 등에서 일으키는 변화를 스마트시티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사이버보안 정책(Cyber Security Policy)

오늘날 우리의 삶에서 사이버공간을 제외할 수 없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우리에게 새로운 기회를 안겨주지만, 이러한 발전이 지속성을 가지기 위해서 사이버 공간의 안전성이 반드시 확보되어야 한다. 이 과목은 최근의 사이버보안과 관련된 국내외 변화를 살피고, 우리나라의 지속가능한 사이버안보 정책의 방안을 모색한다.

 

A.I.와 지능정보사회(Artificial Intelligence and Society)

A.I.기술의 급속한 성장에 따른 경제사회적 파장이 상당히 클 것으로 예견됨에 따라, A.I현상에 대한 이해와 전망을 토대로, 그것이 정보사회에 미칠 전반적인 영향을 탐구한다. 이와 함께 A.I.의 확산에 따라 새로운 정책이슈로 등장할 다양한 문제들을 점검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방안들을 모색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소셜미디어 특론(Topics in Social Media)

Web2.0의 핵심으로 작동하고 있는 소셜미디어에 대한 기술사회적 인식을 통해 인터넷과 사회의 상호작용에 관한 이해를 제고한다. 소셜미디어에 대한 이론적 개념적 접근은 물론 그것이 갖는 미디어적 성격의 차이 그리고 플랫폼적 의미 등을 학습한다. 아울러 소셜미디어에 따른 사회적 관계, 사회참여, 공적 활용 등 사회문화적 함의를 공부하고 토론한다.

 

AI와 인간: 인식과 실험의 실험실(신설 예정)

AI를 비롯한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의 의미를 기술과 사회의 균형적이고 지속가능한 발전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특히 IT 발전을 기술·공급자적 관점이 아닌 인간·수용자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서비스, 자율주행자동차, 빅데이터 기반 서비스, 핀테크, O2O, 블록체인, IoT 등의 서비스의 수용 여부를 참여·실험을 통해 살펴본다.

 

 

[데이터 기반 정책]

연구 방법론 I II(Research Methods I II)

석사 박사 학위논문을 준비하기 위해 거쳐야할 주제선정에서 연구계획서(프로포절) 작성, 연구방법과 자료의 선택, 최종 논문작성 등 일련의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기술과 사고방식, 그리고 자세에 대한 실직적인 교육과 실습을 위한 강의이다.

 

정책분석(Public Policy Analysis)

정책논의, 문제의 형성, 정책분석에 있어서 의사결정분석의 이용, 비용편익분석과 정부의 정책결정, 비용편익 분석의 일반적 절차 및 비용의 시간적 흐름 분석, 비용편익분석에 의한 대안평가의 기준과 방법, 비용편익의 추정과 할인율의 결정, 정책 영향의 추정과 평가 등을 학습한다.

 

정책평가(Policy Evaluation)

정책형성시의 각 정책의 비교분석, 대안과 효과의 분석, 형성된 정책 집행과정의 효과분석, 정책평가의 유형과 과정, 정책평가에 있어서 인과적 추론, 정책 실험, 정책가설의 검증과 효과의 추정, 정책평가의 인과모형, 정책평가의 관리와 활용 등을 배운다. 이를 통해 정부 및 공공기관 평가, 사업이나 프로그램 평가에 필요한 사항을 학습하고 실습한다.

 

기초통계 분석(Statistical analysis)

자료의 정리와 기술통계값의 계산, 신뢰구간, 검정 등 추측통계학의 기본 개념과 기법, 그리고 고급 통계기법으로서 회귀분석 기초 등 사회과학도들에게 필요한 기초적인 통계학적 분석기법에 대해 가르친다.

 

중급·고급 통계 분석(Advances Statistical Analysis)

계량경제학, 요인분석 등 다변량분석 기법에 대하여 공부하며, 정부 및 경제현상에 대한 계약적 분석 시 유용한 분석도구를 제공한다. ※ 질적방법론(내용분석, 심층인터뷰, FGI, 브레인스토밍, 델파이분석, AHP, Q-방법론 등)의 활용과 적용 ※ 양적방법론(비용-편익 분석, 서베이 분석, 시계열 분석, 메타분석, 패널데이터 분석, 네트워크 분석, text mining, 토픽분석, 시뮬레이션 등)의 활용과 적용

 

Data 기반 행정사례 연습(Public Administration and Data-based Analysis)

이 과목은 다양한 행정 현상과 사례들을 양적 자료들을 이용해 분석하고 이해하는 과목이다. 수강생들은 수업을 통해 행정학의 이론과 분석방법론을 실제 사례에 적용시켜 논문으로 발전시키는 연습을 하게 된다. 이 과목의 수강 전 행정학이론, 정책학이론, 기초통계 과목의 이수를 기본적으로 요구한다.

 

증거기반 IT정책 분석(Evidence-based IT policy Analysis)

이 과목은 정보통신의 다양한 현상들을 양적 자료들을 이용해 분석하고 이해하는 과목이다. 이를 위해 수강생들은 IT 분야의 양적 자료들을 이론들과 결합시키는 연습을 하게 될 것이다. 이 과목의 수강 전에 IT정책론, 공공정보화연구, 기초통계 과목의 이수를 기본적으로 요구한다.

 

빅데이터 분석의 기초: 이해와 활용(신설 예정)

빅데이터 분석이란 무엇인가? 이 수업은 빅데이터 분석이 정책에서 의미하는 바는 무엇이며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의 기법을 학습하고 정책에서 기획 및 활용법을 살펴본다.

 

데이터 분석 특강(신설 예정)

R이나 파이썬과 같은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 외에 다양한 중급·고급 방법론을 학습한다.

 

 

[공공관리와 공공혁신]

행정학 이론(Theory of Public Administration)

이 과목은 공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공공관리의 기본체계로서 행정학의 기본 지식을 학습한다. 조직, 인사, 재무 행정의 기본적 지식과 전자정부, 성과평가 등과 같은 행정학의 전공지식을 학습하기 위한 기초과목의 성격을 갖는다.

 

공공정책의 이해(Introduction to Public Policy)

공공정책의 전반적인 내용, 구체적으로 행정학의 성격과 발전과정, 조직론, 인사행정론, 재무행정론, 정부 간 관계론, 정책학, 행정 혁신론, 한국행정론 행정이념 등을 다룬다.

 

 

정부2.0 특강 (Government 2.0 and Beyond)

Web2.0이후 등장한 새로운 버전의 전자정부, 즉 오픈 거번먼트와 공공정보 개방 등을 포괄하는 거번먼트 2.0에 대해 배우고, 이론적실제적 함의에 대해 생각하고 토론한다. 그리고 향후 정부가 맞이하게 될 빅데이터와 IoT, A.I. 등 새로운 기술적 도전과 그에 따른 정책적 문제과 이슈들을 점검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공공정책 특강(Topic in Public Policy)

현실 세계에서 실제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행정·정책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이론과 현실의 균형 있는 접목을 시도하고, 세미나를 통해서 축적된 경험과 지식을 체계화·이론화하여 공공정책의 타당성, 수용성, 현실성을 높인다.

 

정책과정론(Theoy of Policy Prosess)

정책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정책과정이론을 한국의 정책사례에 적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정책과정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와 정책학에서 사용되는 주요한 정책과정을 학습하고 정책과정이론을 적용하여 자신이 관심을 갖는 정책을 분석하고 논문으로 작성한다.

 

정책사례연구(Case Studies in Public Policy)

정책형성과정과 집행 및 평가, 환류 등 정책과정에 대하여 다양한 국내·외 성공사례와 실패사례를 분석하고 연구함으로써 정책형성능력을 배양한다.

 

전략적 조직 관리(Strategic Organizational Management)

조직진단의 이론과 기법, 조직설계 팀·부서 단위의 조직관리, 구성원에 대한 동기부여, 전략 개발, 성과평가 등 조직 관리에 대한 주요 주제들에 대하여 다양한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연구한다.

 

조직행동과 리더십(Organizational Behavior and Leadership)

가치관, 성격, 태도, 스트레스, 동기부여, 집단과 갈등관리, 의사소통, 조직내 권력과 정치, 조직발전, 조직문화 등 조직행동에 대한 이해와 분석, 조직관리자로서 갖추어야 할 리더십 등을 중심으로 실제 조사·분석의 수행과 다양한 사례에 대하여 연구한다.

 

인적자원관리론(Human Resources Management)

지식기반사회에서 조직발전을 위한 핵심적인 자산으로 인ㅅ기되고 있는 인적자원개발, 특히 관리자 개발(Management Development)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과 제도 및 전략 등을 고찰 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정부의 인적자원개발정책을 분석한다.

 

공공경제론(Public Economics)

현대 정부의 경제적 역할 및 정부재정의 특성을 각종 이론을 통하여 이해한다. 현대 재정의 특징과 구조, 시장경제 하의 자원배분, 시장실패이론, 공공재이론, 공공선택이론, 비용편익분석, 소득분배이론, 조세이론, 거시재정이론, 지방재정 등이다.

 

디지털 전환 시대의 정부혁신: 이론과 실제(신설 예정)

디저털 전환시대에 공공부문에서 강조되는 정부 혁신의 이론과 실제를 다양한 이론과 사례, 방법론을 통해 학습한다.

 

디지털 기반 공공서비스의 기획과 운영(신설 예정)
담당자 : 대학원행정실
전화번호 : 02-970-6795
공유하기 :   icon icon icon    
출력하기
copyright(c)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srved
대학/대학원
공과대학공과대학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기계·자동차공학과기계공학 프로그램자동차공학 프로그램안전공학과신소재공학과건설시스템공학과건축학부-건축공학전공건축학부-건축학전공건축기계설비공학과정보통신대학정보통신대학전기정보공학과컴퓨터공학과스마트ICT융합공학과전자공학과전자IT미디어공학과전자공학 프로그램IT미디어공학프로그램에너지바이오대학에너지바이오대학화공생명공학과환경공학과식품공학과정밀화학과스포츠과학과안경광학과조형대학조형대학디자인학과산업디자인전공시각디자인전공도예학과금속공예디자인학과조형예술학과인문사회대학인문사회대학행정학과영어영문학과문예창작학과외국어교육기술경영융합대학기술경영융합대학산업공학과(산업정보시스템전공)산업공학과(ITM전공)MSDE학과경영학과(경영학전공)경영학과(글로벌테크노경영전공)데이터사이언스학과미래융합대학미래융합대학융합기계공학과건설환경융합공학과헬스피트니스학과문화예술학과영어과벤처경영학과정보통신융합공학과창의융합대학창의융합대학인공지능응용학과지능형반도체공학과미래에너지융합학과교양대학교양대학국제대학국제대학대학원일반대학원산업대학원주택도시대학원철도전문대학원IT 정책전문대학원나노IT디자인융합대학원융합과학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