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공공정책전공
AI공공정책전공
 학과안내 AI공공정책전공 교수진 소개
이름
남궁근(명예교수)
전공
연구방법, 정책학, 정부개혁, 교육정책
TEL
02-970-6261
E-mail
keunnk@seoultech.ac.kr
연구실
어의관 420호
학력
1989 미국 University of Pittsburgh 행정국제대학원(행정학박사)
1978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수석졸업(행정학석사)
1976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수석졸업(정치학사)

※ 학위논문
1989 "A Cross-National Study on Public Health Program and Policy Development: Comparative Analysis of Alternative Perspectives", Unpublished Dissertation submitted to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and International Affairs, University of Pittsburgh, April 1989.

1978 “한국의 근대화와 대통령의 Leadership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논문.
주요 경력
1) 경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행정학과 교수(2001-현재)
국립 경상대학교 행정학과 전임강사-교수(1982- 2001)
경제기획원 사무관(1981 - 1982)
육군 제3사관학교 전임강사, 육군중위 및 대위(1978- 1981)
총무처 수습행정 사무관, 서울시 관악구청 근무(1977- 1978)
제19회 행정고등고시 합격(1976. 12)

2) 교내봉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장(2003-200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명변경위원장(2008-200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규정심사위원장(2008-2009)
경상대학교 중앙도서관장(1997-1999)

3) 해외연구
벨기에 Katholic University of Leuven, 공공관리연구소 방문교수(2010)
미국 UC Berkeley 정부연구소 방문교수(1996-1997), 연암해외연구교수

4) 수상 및 훈장
대한민국학술원 기초과학분야 우수학술도서 선정(2009)
저서제목: 「정책학: 이론과 경험적 연구」, 2008, 서울: 법문사.
홍조근정훈장 받음(2005. 10.4)
한국행정학회 제 6회 학술상(저술부분) 수상(1999)
저서제목: 「비교정책연구 - 방법, 이론, 적용」, 1998. 서울: 법문사.
LG연암문화재단 연암해외연구교수 선정(1995)
미국행정대학원연합회(NASPAA) 우수박사논문상(Honorable Mention) 수상(1989)
미국 University of Pittsburgh, GSPIA 전액장학금 및 연구조교(1985-1989)
연구 분야
통계연구방법론, 공공정책세미나, 정책형성론, 정책분석평가론
담당 교과목
통계연구방법론, 공공정책세미나, 정책형성론, 정책분석평가론
주요논문 및 저서
1) 국내외 학술논문(Published Papers)
2010. 남궁 근. 정책분석평가와 윤리.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20권 제4호. pp.37-56.
2010. 남궁 근. EU교육정책 개방형 정책조정(OMC)의 영향: 담론형성과 정책학습.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20권 제1호. 217-244.
2010. 남궁 근 · 최인엽. 정부의 연구기반구축사업이 교원의 연구성과에 미친 영향.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4권 제3호. pp.1-28.
2009. 남궁 근. 재정사업평가의 발전과정과 각국의 제도: 미국과 스웨덴의 사례. 『지방재정과 지방세』. 10월호(통권 제22호). pp. 20-36.
2008. Keun Namkoong. Decentralization in Asia and Latin America: Towards a Comparative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2008. Journal of Comparative Policy Analysis: Research and Practice, Volume 10, Issue 2, 2008, pp. 207-208. (Book Review Article).
2007. 남궁 근. 행정학자의 시민단체 참여활동 성과와 한계 :경실련, 참여연대, 함께 하는 시민행동, 행개련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41권 제4호 (2007년 겨울), pp. 45-66.
2007. 남궁 근. 한국의 공공부문 : 이론, 규모와 성격, 개혁방향, 안병영·정무권·한상일 공저 , 『한국행정학보』. 제41권 제3호 (2007년 가을), pp.425-427. (서평논문).
2007. 남궁 근. 사회자본의 형성과 효과에 관한 경험적 연구의 쟁점, 『정부학연구』. 제13권 제4호 (2007년 12월), pp.297-325, 336.
2007. Keun Namkoong. Civil Service Reform in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 22. no. 1 pp.19-46.
2006. 남궁 근 · 김상묵. 분권-참여형 개혁과 시장지향형 개혁: 북유럽국가와 영연방 국가의 정부혁신 전략과 결과 비교,『서울산업대학교 논문집』. 제54집 제4권. pp.259-277.
2005. 남궁 근 · 김상묵. 북유럽국가 정부인사개혁전략의 특징과 결과, 김상묵과 공동연구, 『한국행정학보』. 제39권 제3호. pp.229-250.
2005. 남궁 근 · 서원석. 팀제와 참여정부 인사개혁 정합성 검토: 팀제, 고위공무원단, 총액인건비, 전보제한 및 경력개발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서원석과 공동연구, 『행정논총』. 제43권 제4호. pp.437-458.
2005. 남궁 근. 우리나라 대학경쟁력 제고방안,『정책연구』. 통권 147호, pp.93-141
2004. 남궁 근 · 류임철. 공직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보직관리시스템 개선방안,『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3권 제2호, pp.93-120.
2004. 남궁 근 · 하혜수. DEA에 의한 공공서비스 투입자원 재배분방안 연구 :경기도의 소방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보』, 제1권 제1호, pp. 1-24
2003. Keun Namkoong. "Policy learning from the Experience of a Neighboring Country: Adaptation of Korean Earthquake management System after the 1995 Kobe Earthquak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 17, No.1.
2003. 남궁 근 · 김태일. 학술연구비지원정책의 효과에 관한 실증적 분석 :연구비지원방식과 연구결과물 수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제2호. pp. 163-185
2003. 참여정부의 공직사회 전문성 제고방안,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2권 제2호, pp. 89-104.
2003. Keun Namkoong. An Evaluation of the Results of Open Competitive Position System Program Implementation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8. no.1, pp. 53-66.
2002. 남궁 근. 경쟁과 파트너십, 『한국정책학회보』, 11권 3호, pp. 285-289.
2002. 남궁 근 · 박천오 · 김상묵 · 강제상 · 박희봉. 개방형직위제도 운영실태에 대한 실증적 조사평가, 『한국행정학회보』, 36권 3호, 99-128.
2002. 남궁 근 · 박천오 · 김상묵 · 강제상 · 박희봉. 개방형직위제도 제도적 적정성에 관한 실증적 조사연구, 『한국행정연구』, 11권 2호

2002. Keun Namkoong & H.S. Choi, "Synposium E-Government for the 21st Century, Introduction: Are We Making Sense of E-Government Yet?",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7, no. 2. December 22, pp. 1-3.
2002. “NGO 반부패활동의 성과와 과제”, 『한국부패학회보』, 제 6집. 105-125. 2000. “개방형 직위제도 시행의 중간평가”, 『행정논총』(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제38권 제2호, pp. 253-272.
2000. “개방형 직위제도 시행의 중간평가”, 『행정논총』(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제38권 제2호, pp. 253-272.
2000. “행정에서의 다중매체 활용과 전자정부”, 『사회과학연구』(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8집 1호. pp. 101-142.
2000. 남궁 근 외 4인. “경상남도 도민정보화 교육사업의 평가",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10권 제2호, pp. 233-260.
1999. 남궁 근. “후기산업사회에서 복지정책의 다양성: 미국, 영국, 스웨덴의 국가복지 구조조정 결과 비교,”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9권 제1호, pp. 1-36.
1999. 남궁 근, “국회와 중앙부처의 상호의존관계”, 한국의회발전연구회 연구비지원논문.
1998. 남궁 근. “복지국가의 위기극복을 위한 정책선택의 비교연구:영국과 스웨덴을 중심으로”,「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8권 제1호, pp. 81-110.
1998. 남궁 근 · 강수택. “인터넷의 대중화와 활용유형”,「사회과학연구소보」,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제16집 제2호, pp. 145-170.
1998. 남궁 근 · 강수택. “인터넷 이용 현황과 이용자 특성”, 「사회과학연구소보」,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제16집 제2호, pp. 213-276.
1998. 남궁 근. “기초자치단체 정보화의 방향과 지원체계 구축”, 「사회과학연구소보」,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제16집 제1호, pp. 3-22.
1998. 남궁 근. “지역정보화의 과제와 지원체계”, 「경남개발」, 통권 30호, pp. 43-61.
1995. 남궁 근. “재해관리행정체제의 국가간 비교연구: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한국행정학보」, 제29권 제3호, pp. 957-981.
1995. 남궁 근. “국민의료보험제도 채택배경에 관한 국가간 비교연구”, 「사회과학연구소보」,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제13권 1호, pp. 157-198.
1995. 남궁 근 · 한동효. “서부경남권 광역행정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보」,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제13권 2호, pp. 245-278.
1994. 남궁 근. “정책혁신으로서 행정정보공개조례채택”,「한국정치학회보」, 제28집 1호, pp. 101-121.
1994. 남궁 근.“우리나라 지방정부 지출수준의 결정요인 분석”,「한국행정학보」, 제28권 제3호, pp. 991-1012.
1994. 남궁 근.“지방정부예산의 점증성과 환경결정론”, 「사회과학연구소보」,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제12집 1호, pp. 107-149.
1994. 남궁 근. “행정개혁과 점진적 접근방법: 행정개혁의 신화와 논리: 점진적 개혁의 지혜에 관한 서평”, 「사회과학논평」, 제13호, 한국사회과학 연구협의회, pp. 161-183.
1993. 남궁 근 · 박창제. “보건의료보장정책의 성과와 개선방향,「한국행정연구」, 제2권 제3호, pp. 92-110.
1993. 남궁 근. “다원적 인과관계에서 원인변수의 상대적 영향력 비교방법”, 「정책분석평가학회보」제3권 제1호, pp. 39-56.
1993. 남궁 근. “우리나라 지방의회 정책산출의 결정요인분석”, 「사회과학연구」,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제11집, pp. 95-136.
1993. 남궁 근. “우리나라 지방정부예산의 변화분석”, 「지역개발연구」, 경상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제4집, pp. 1-49.
1992. 남궁 근. “정책형성에서 사회과학적 지식의 활용방안”, 「한국행정연구」, 한국행정연구원, 제1권 2호, pp. 152-170.
1992. 남궁 근. “우리나라 행정학교육과정에서 컴퓨터 활용현황과 방향”,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권 1호, pp. 211-224.
1992. 남궁 근 · 오세홍. “주민관리전산망의 성과평가와 그 영향요인분석”,「지역개발연구」, 경상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제3집, pp. 1-20.
1992. 남궁 근 · 송병주.-“지방행정전산화의 추진방향,” 「지역개발」, 경남대학교 개발연구소, 제2집, pp. 35-63.
1992. 남궁 근 · 서삼영 · 송병주 · 김영기. “기초자치단체 행정전산화 추진우선순위분석”, 「한국행정학보」, 제25권 4호, pp. 393-420.
1992. Keun Namkoong & Hector Correa. "Determinants and Effects of Health Policy", Journal of Policy Modeling, (N.Y.: Elsevier Publishing Co), 14(1): 41-64, 1992.
1991. 남궁 근. “우리나라 의료보험제도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있어서의 분배적 효과에 관한 연구: 진주시와 산청군 의료보험조합의 사례를 중심으로”, 「성곡논총」제 22집, pp. 999-1034.
1991. 남궁 근. "의료보험제도의 분배적 효과에 관한 경험적 연구”,「정책분석평가학회보」제 1권 제 1호, pp. 99-119.
1991. 남궁 근 · 김영기 · 이시원 · 배병룡. “의회신뢰의 차원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4인 공동연구) 1991,「한국정치학회보」 제25권 제2호, pp. 189-206
1990. 남궁 근. “남북한 통일을 위한 조건과 통일정책의 방향”, 「민족통일논집」, 경상대학교 통일문제연구소, 제7집, pp. 3-20.
1990. 남궁 근. “국가보건의료정책발달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경쟁적 제관점의 비교평가”, 「한국행정학보」, 제24 권 1호, pp. 1399-1420.
1990. Keun Namkoong. "A Note on the Multiple Perspectives for Decision Making and Implications to the Practice of Policy Analysis", 사회과학연구」,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제8권, pp. 14-27.
1988. Keun Namkoong. “Politics over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the United States: Lessons from the Past", 1988, 「사회과학연구」,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제6집, pp. 125-148.
1986. Keun Namkoong. "Reagan Administration's Welfare Reform: Focusing on the Policy Making of AFDC Program Change", 1986, 「사회과학연구」,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제 4 집 pp. 93-105.
1984. 남궁 근. "신행정론의 가치지향: 사회적 형평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 18권 제 1호, pp. 221-241.
1984. 남궁 근. “정책의제채택이론에 관한 고찰: 엘리트론과 정치적 다원론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논문집」(사회계 편)제 23권 1호, pp. 187-202.
1983. 남궁 근. “행정의 규범으로서 사회적 형평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논문집」 (사회계 편) 제 22 집 제 2 호, pp. 169-184.
1980. 남궁 근. “발전과 참여의 연관성 소고”,「육군제3사관학교논문집」, 제11집 pp. 159-174.

2) 정책연구보고서 (최근 6년간)
2010. 남궁 근 · 손명구. 국내외행정환경의 변화. 감사연구원 위탁과제. 역할: 연구책임자.
2009. 남궁 근 외 9인. 이명박정부 교육개혁의 성과와 향후과제, 교육과학기술부 위탁과제. 역할: 공동연구원, 수행기관: 한국정책학회
2009. 남궁 근 외 5인. 2008년 구조개혁선도대학 연차평가 및 종합평가 정책연구. 교육과학기술부 위탁과제. 역할: 연구책임자. 수행기관: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2009. 남궁 근 외 3인. 소방공무원 교육훈련 커리큘럼 재설계를 위한 계급별 직무분석. 중앙소방학교 위탁과제. 역할: 연구책임자, 수행기관: 한국행정학회.

2008. 남궁 근 외 9인. 소방재정 특별법 제정 연구. 경기도 위탁과제. 역할: 연구책임자. 수행기관: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2007. 남궁 근 외 9인. 대학 설립운영에 대한 제도개선을 위한 정책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위탁과제. 역할: 연구책임자. 수행기관: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2007. 남궁 근 외 5인. 2007년 구조개혁선도대학 연차평가 시행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위탁과제. 역할: 연구책임자. 수행기관: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2007. 남궁 근 외 5인. 소방인력확보를 위한 중앙정부의 역할.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위탁과제. 역할: 연구책임자. 수행기관: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2006. 남궁 근 외 5인. 2006년 구조개혁선도대학 심사 · 성과평가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위탁과제. 역할: 연구책임자. 수행기관: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2005. 남궁 근 외 4인. 고위공무원단 도입에 따른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 한국행정연구원 위탁과제, 역할: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원 총수 4명. 수행기관: 한국행정학회.
2004. 남궁 근 외 3인. 공직유출시스템 구축방안, 한국행정연구원 위탁과제, 역할: 연구책임자(3인 공동연구). 수행기관: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2005. 남궁 근 외 5인. 대학의 규제완화를 통한 자율혁신역량 강화 및 구조개혁 방안 연구. 역할: 연구책임자. 수행기관: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2004. 남궁 근 외 7인. 공직자용 표준 교육교재 개발, 국가청렴위원회 위탁과제, 역할: 공동연구자. 수행기관: 한국행정학회.
2004. 남궁 근 외 5인. 초 · 중등교육법령 및 고등교육개편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위탁과제(교육정책연구과제 2004-특-19). 역할: 공동연구자. 수행기관: 서울대학교.
저널 논문
◾ 정책분석평가와 윤리, 정책분석평가학회보, vol.20 No.4 pp.37~56, 2010남궁근(명예교수)
◾ 정부의 연구기반 구축사업이 교원의 연구성과에 미친 영향:1단계 BK21사업 물리학 분야 SCI급 연구성과의 사례,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4 No.3 pp.1~28, 2010남궁근(명예교수)
◾ EU교육정책 개방형정책조정(OMC)의 영향: 담론형성과 정책학습, 정책분석평가학회보, vol.20 No.1 pp.217~244, 2010남궁근(명예교수)
학술대회
※ 최근 4년간 해외 학술대회 발표논문

2010. Taipei, Chinese Society for Public Administration 정기학술대회 기조발제(11.20).
“Recent Government Reforms and Their Sustainablity in Korea"
2009. Beijing 韓·中 社區(Community Center)세미나 한국 측 정부 대표로 참석, 좌장(11.19)
2008.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ASPA(미국행정학회) 연차총회 논문발표(3월)
2008. 일본 동경. 일본행정학회 연차총회에 한국행정학회장 자격으로 참석(5월).
2008. Taipei, Chinese Society for Public Administration 정기학술대회 기조발제(11.14).
“Institutionalization of the Senior Civil Service System in Korea"
2007. 미국 워싱턴. ASPA(미국행정학회) 연차총회 논문발표(3월)
2007. 미국 피츠버그. 피츠버그대학 초청으로 한미학술세미나 논문발표(11월).
"Korean Civil Service System in Transition"
◾ 남궁근, Government Innovation in Korea, Joint International Conference Nw Values for Public Administration in East Asia, Thammasat Univ. Bankok, Tahi, 2017남궁근(명예교수)
◾ 남궁근, 정부혁신 패러다임 변화, 제1차 KIPA_KAPA 포럼, 한국행정연구원 스마트워트센터, 2017남궁근(명예교수)
저역서
1) 단행본(Books)
2010. 남궁근.「행정조사방법론, 제4판」 서울: 법문사. 제3판, 2003, 제2판, 1998, 초판 1994년 발간
2008. 남궁근.「정책학: 이론과 경험적 연구」서울: 법문사.
1999. 남궁근.「비교정책연구: 방법, 이론, 적용」 [증보판], 서울: 법문사. 초판, 1998년 발간
2010. 남궁근 · 윤태범. 「한국정부론」 서울: 방송통신대출판부
2002. 남궁근 외 3인 공저,「전자정부를 통한 부패통제」, 서울: 한울.
2000. 남궁근 외 4인 공저,「고위공무원 개방형 임용제도」, 서울: 나남.
2009. Keun Namkoong (ed.)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and KAPA: Looking Back and Leaping Forward. 2009. Seoul: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2006. 남궁근(편) 「스칸디나비아국가의 거버넌스와 개혁」, 서울: 한울.
2002. 박동서 · 조석준 · 인명진 · 남궁근 (공편), 「시민과 정부개혁」, 서울: 한울
2002. 박동서 · 조석준 · 인명진 · 남궁근 (공편), 「정부개혁정책평가와 공약모니터링」, 서울: 한울
1993. 노화준 · 남궁 근 (공편)「공공정책의 결정요인분석」, 서울: 법문사.
2008. 남궁 근 · 이희선 · 김선호 · 김지원 (공역)「정책분석론, 제4판」, 서울: 법문사. (원저: William N. Dunn, Public Policy Analysis, 4th ed., Prentice-Hall, 2008).

1985. 김영기 · 남궁근 · 유낙근 · 최용부 (공역),「정책집행론」, 1985, 서울: 법문사. (원저: Robert T. Nakamura and Frank Smallwood, The Politics of Policy Implementation, St. Martin Press, 1980.)
1983. 김영기 · 남궁근 · 유낙근 · 최용부 (공역)「신행정론」, 서울: 박영사. (원저: H. George Frederiskson, The New Public Administration. The University of Alabama Press, 1980).
1981. 이춘근 · 남궁근 (공역) 「개발도상국정치론」, 서울: 평민사. (원저: R. T. Meehan, The Politics of Developing Countries, St. Martins Press. 1970.)

2) 북챕터(Book Chapters)

2009. K. Namkoong. "Overview of KAPA: Organization, Membership, Activities, and Financing", in Keun Namkoong (ed.)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and KAPA: Looking Back and Leaping Forward. pp. 29-50.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2009. K. Namkoong & Huck-ju Kwon, "Particip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Academics in Policy Making" in Keun Namkoong (ed.)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and KAPA: Looking Back and Leaping Forward. pp. 205-220. 2009.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2009. 남궁 근. “역대 행정체제의 특징과 발전방향,” 이정복 편 『21세기 한국정치의 발전방향』, 255-285 쪽,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9.
2008. 남궁 근. “행정학자의 시민단체 참여를 통한 행정개혁,” 오석홍 편, 『행정개혁실천론: 행정학자들의 개혁현장 체험』, 283-301 쪽, 서울: 법문사. 2008.
2007. 남궁 근. “한국 인사행정체제의 특징과 참여정부의 인사혁신,” 김영기 편, 『정부인사혁신론』, 17-48 쪽, 서울: 대영문화사. 2007.
2007. 남궁 근. “참여거버넌스와 행정학자의 참여,” 운강노화준교수정년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편, 『정책연구의 관점과 방법』, 58-83 쪽, 서울: 법문사. 2007.
2006. 남궁 근.“정부참여 · 자문 및 용역연구”, 한국행정학오십년 편찬위원회 (편). 『한국행정학 오십년, 1956-2006』. 663-678 쪽. 한국행정학회, 2006.
2005. 남궁 근. “공공정책”, 김세균 · 박찬욱 · 백창재 편, 『정치학의 대상과 방법』. 495-541 쪽. 박영사, 2005.
2001. 남궁 근. “역사적 제도주의,” 윤영진·최태룡 외, 「새행정이론」, 2001. 대영문화사
2000. 남궁 근. “반부패 NGO활동의 국내사례분석,” 박재창 편, 「정부와 NGO」서울: 법문사, 2000, pp.234-267.
2000. 남궁 근. “정당별 정책공약의 비교: 16대 국회의원선거 행정 · 자치분야,”「위대한 사회를 향하여: 김영섭 교수 정년기념 논문집」서울: 법문사, 2000, pp. 60-80.
2000. 남궁 근. “William N. Dunn의 정책문제 구조화의 방법”, 오석홍 · 김영평 편저, 「정책학의 주요이론, 제2판」서울: 법문사, 2000. pp. 397-405.
2000. 남궁 근. “Robert D. Putnam의 사회자본과 시민공동체론,” 오석홍 · 송하중 · 박정수 편저, 「행정학의 주요이론, 제2판. 서울: 법문사, 2000. pp. 586-595.
1998. 남궁 근. “복지국가의 재정위기에 대응한 정책선택의 성과: 영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강신택교수 정년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한국의 재정과 재무행정」, 서울: 법문사, 1998, pp. 115-136.
1993. 남궁 근. “지방정부예산의 결정요인”, 유훈교수 정년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전환기의 정책과 재정관리」, 서울: 법문사, 1993.
◾ 남궁근 저, 정책학 : 이론과 경험적 연구, 저서, 9788918024738, 法文社, 2017남궁근(명예교수)
◾ Unknown,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in Korea: Its Evolution and Challenges, 편서, 978-0-415-78789-5, Routledge, 2017남궁근(명예교수)
◾ 윤태범, 남궁근 공저, 한국 정부론, 저서, 978-89-20-01547-2, KNOU Press(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5남궁근(명예교수)
◾ 남궁근, 볼로냐협약의 집행성과, 저서, 978-89-18-02427-1, 법문사, 2014남궁근(명예교수)
◾ 남궁근, 유럽연합의 대학개혁, 저서, 978-89-18-02421-9, 법문, 2014남궁근(명예교수)
◾ 행정조사방법론, 저서, 9788918023557, 법문사, 2010남궁근(명예교수)
◾ 한국정부론, 저서, 978-89-20-00265-6,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0남궁근(명예교수)
연구프로젝트
2010. EU 고등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수탁과제
◾ 과학행정구현을 위한 빅데이터 활성화방안 연구, 행정자치부, 2016.08.~2016.12.남궁근(명예교수)
◾ 경쟁력 제고를 위한 유럽연합(EU) 대학개혁정책 평가, 한국연구재단, 2010.05.~2012.04.남궁근(명예교수)
기타(학회활동 등)
1) 고등교육분야 대외활동
교육과학기술부 고등교육분과 정책자문위원 (2010 -현재)
교육과학기술부 청렴옴부즈만 (2010-현재)
조선대학교 법인이사 (2010-현재)
교육과학기술부 대학설립심사위원장 (2007 - 2009)
경인여대(태양학원) 관선이사 (2004-2006)
교육인적자원부 대학자율화․구조개혁위원회 분과위원장 (2003-2005)
교육인적자원부 정보공개심의위원 (2003-2007)
교육인적자원부 주요업무평가위원회 위원 및 고등교육분과위원장 (2002-2006)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자문위원 및 고등교육분과위원장 (2001-2003)
교육인적자원부 국립대학발전윈회 위원 및 실무추진위원장 (2001-2002)
교육부 대학설립심사위원회 위원(2000-2002)

2) 행정부 대외활동
(1) 대통령 소속 위원회
사회통합위원회 지역분과위원(2011-현재)
규제개혁위원회 위원(2002 - 2004)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인사개혁간사위원 (2003 - 2005)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2004-2008)

(2) 국무총리소속 위원회
행정정보공유추진위원회 위원 (2005 -2009)
행정정보공유추진위원장(국무총리와 공동) (2007-2009)
개인정보보호심의위원회 위원 (2005-2007)

(3) 부처소속위원회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자율통합지원위원장(2009)
행정자치부 정부혁신관리평가단 평가위원 (2004-2005)
외교통상부 혁신추진위원장(2006-2007)
국가청렴위원회 자체평가위원장(2006-2007)
국세청 세정혁신추진위원회 위원(2003)
국세청 국세행정개혁위원(2008)

(4) 기타정부기관
감사원 감사연구원 자문위원장 (2010-현재)
UN Governance Center 자문위원(2010-현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이사(2008-현재)
한국소방안전협회 경영혁신협의회 위원(2008-현재)
정보통신부 우정사업운영위원회 위원 (2002-2008)
지식경제부 한국부품소재산업진흥원 이사(2008-2009)





3) 학회 및 학술단체활동
한국행정학회
: 제43대 회장(2008년)
: 편집위원장 (2000년)
: 연구위원장(2002년)

한국정책학회
: 정보통신분과학회장(1998-1999),
: 학술상위원장(2005)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 섭외위원장(1991-1992),
: 편집위원장(1999)

미국행정학회 : 정회원(1989-현재)
한국학술단체연합회 : 이사(2008-2009)
한국사회과학협의회 : 이사(2008)
아산사회복지재단 : 학술연구자문위원(2007-현재)
한국학술진흥재단 : 학술연구심사 평가위원 (2004-2006)
인문사회연구회 : 소관연구기관 평가위원(2002)

4) 언론 및 시민단체활동
서울신문 열린세상 집필위원 (2003-2004)
행정개혁시민연합 정책위원장 (2000-2003)
담당부서 : 대학원행정실
전화번호 : 02-970-6795
공유하기 :   icon icon    
출력하기
copyright(c)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srved
대학/대학원
공과대학공과대학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기계·자동차공학과기계공학 프로그램자동차공학 프로그램안전공학과신소재공학과건설시스템공학과건축학부-건축공학전공건축학부-건축학전공건축기계설비공학과정보통신대학정보통신대학전기정보공학과컴퓨터공학과스마트ICT융합공학과전자공학과전자IT미디어공학과전자공학 프로그램IT미디어공학프로그램에너지바이오대학에너지바이오대학화공생명공학과환경공학과식품공학과정밀화학과스포츠과학과안경광학과조형대학조형대학디자인학과산업디자인전공시각디자인전공도예학과금속공예디자인학과조형예술학과인문사회대학인문사회대학행정학과영어영문학과문예창작학과외국어교육기술경영융합대학기술경영융합대학산업공학과(산업정보시스템전공)산업공학과(ITM전공)MSDE학과경영학과(경영학전공)경영학과(글로벌테크노경영전공)데이터사이언스학과미래융합대학미래융합대학융합기계공학과건설환경융합공학과헬스피트니스학과문화예술학과영어과벤처경영학과정보통신융합공학과창의융합대학창의융합대학인공지능응용학과지능형반도체공학과미래에너지융합학과교양대학교양대학국제대학국제대학대학원일반대학원산업대학원주택도시대학원철도전문대학원IT 정책전문대학원나노IT디자인융합대학원국방융합과학대학원SeoulTech-KIRAMS의과학대학원